언어학

형태론 - 어휘 정리

도갱도갱 2025. 4. 6. 22:26

Orthographic word: 철자법 상의 단어, 보통 띄어쓰기를 하는 글자 체계를 갖는 언어권에서는 띄어쓰기가 Orthographic word를 구분하는 단위가 된다. 한국어에선 이렇게 구분된 단어들을 '어절'이라 한다.

 

Lexeme: 어휘소, 사전에 등재되는 단어들로 좀 더 정확히는 화자의 머릿속 가상의 사전에 있는 단어들. 사전에 등재된 단어들은 그 의미에 따라 구분된다. 

 

Word-form: Lexeme이 실제 발화, 문장 내에서 나타나는 형태. '빠르다'라는 Lexeme은 실제 사용 시 '빠른', '빠르다', 빠르고' 등으로 나타난다. 

 

Grammatical word: 문법적 기능에 따라 구분되는 단어 같은 Lexeme에서 파생된 단어이며, 같은 word-form으로 보여도 문법적 기능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가령 영어의 walked(과거), walked(과거 분사).

 

 

(1) 여기서 주문한 노트북은 속도도 빠르고, 배달도 빨라서 참 좋아요. 

(2) He scored a goal against the team; He has scored 10 goals against the team.

 

Orthographic word 개수: 9

 

한국어는 '조사'를 어떤 기준으로 셀 것인가에 따라 달라진다. '조사'도 하나의 'lexeme'으로 볼 것인가 아닌가.

Lexeme 개수: 8개(조사를 세면 10개), 여기서/주문하다/노트북/(은)/속도/(도)/빠르다/배달/()/빠르다/참/좋다 - '빠르다'가 같으니 하나로 처리, 조사에서 '도'가 두 번 나왔으니 한 번만 개수로 센다.

 

Word-form 개수: 9개(조사를 세면 10개), 여기서/주문한/노트북/(은)/속도/(도)/빠르고/배달/()/빨라서/참/좋아요

 

(2)에서 Grammatical word: 첫번째 문장의 scored와 두 번째 문장의 scored는 'SCORE'에서 비롯된 같은 word-form을 갖는 단어로 볼 수 있지만, 문법적 기능에 따른 단어 분류에선 각각 과거, 과거 분사의 역할을 하기에 다른 단어로 구분된다. 



morphs: 형태, word-form 내부를 구성하는 단위

*Morpheme(형태소)과 morph(형태)는 다른 개념이다. 마치 lexeme(어휘소)과 word-form(어형)의 관계와 같다.

*Morpheme과 lexeme은 추상적인 개념이라면, morph와 word-form은 실제 발화, 문서를 통해 나타난 것을 말하며, 하나의 morpheme과 lexeme이 다양한 morph와 word-form을 가질 수 있다.

 

potentially free morphs(자립 형태): 스스로 word-form이 될 수 있는 morph들

obligatorily bound morphs(의존 형태): 스스로 word-form이 될 수 없는 morph들

 

root(어근): 어근, 더 이상 분석될 수 없고, lexeme(어휘소)로 나타날 수 있는 morph

affix(접사): obligatorily bound morphs 중, root에 붙어 word-form을 구성하는 요소들

base(어간): affix가 붙을 수 있는 모든 대상, root, root+affix, root+affix+affix, ... 를 모두 포함함.

prefix(접두사): affix 중 base의 앞에 붙는 대상

suffix(접미사): affix 중 base의 뒤에 붙는 대상

infix(접요사): affix 중 base의 중간에 붙는 대상

 

접미사(Suffixes): 가장 보편적인 접사이며, 단어의 뒤에 결합하는 접사이다. 파생/굴절의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기능에 따라 굴절, 파생 접미사로 나뉘며 이들 사이의 분류는 결합 위치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항상 파생 접미사가 먼저 결합한 후 굴절 접미사가 결합한다. 즉, 단어-파생-굴절, 단어-파생-파생-굴절-굴절, 단어-파생, 단어-굴절 등의 결합은 가능하지만, 단어-굴절-파생, 단어-파생-굴절-파생과 같이 굴절 접미사가 먼저 결합한 후 파생 접미사가 결합한 조합은 불가능하다.

 

예) Composit -ion -al -ity: Composit에 -ion, -al, ity의 (파생)접미사가 결합한 어휘

 

접두사(Prefixes): 파생 접사에 비해 덜 흔하며, 단어의 앞에 결합하는 접사이다. 파생/굴절의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기능에 따라 굴절, 파생 접두사로 나뉘며 이들 사이의 분류는 결합 위치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접미사와 마찬가지로 항상 파생 접두사가 먼저 결합한 후 굴절 접두사가 결합한다. 즉, 굴절-파생-단어, 굴절-굴절-파생-파생-단어, 파생-단어, 굴절-단어 등의 결합은 가능하지만, 파생-굴절-단어, 굴절-파생-굴절-단어과 같이 굴절 접두사가 먼저 결합한 후 파생 접두사가 결합한 조합은 불가능하다.

 

예) 풋- 사과

 

접주(양)사(Circumfixes): 단어의 앞, 뒤를 둘러싸는 접사

 

예) filmen: 영화를 찍다 vs. ge- film -t: 영화를 찍었다. 

     'ge- -t'는 하나의 Circumfix이다

 

접요사(Infixes): 단어의 내부에 삽입되는 접사

 

예) sulat: 쓰다(write), s -uml- ulat: 썼다. (접요사 -uml-)

 

(삽간사)Interfixes: 단어와 단어를 연결하여 새로운 단어를 생성하는 접사

 

예) Augen -n- arzt: Augen(눈)과 Arzt(의사)를 '-n-'이 연결하여 '안과의사'라는 한 단어가 생성됨

 

(관통접사)Transfixes: 아랍어와 같은 셈족어에서 자음들로만 이루어진 어근의 사이사이에 결합하는 접사

 

예) ktb -> 'katab: '그가 쓴다.' 여기선 'k t b'가 어근이고, '-a -a'가 transfix이다.

 

Superfix(replacive morphs): 음소 이상의 층위(강세, 성조)에서 구별되는 접사

 

굴절과 파생

 

굴절 접사: 어기(base)로부터 새로운 어휘의 word-form을 생성, 영어 동사의 3인칭 단수 굴절 접사 '-s'

파생 접사: 어기(base)로부터 새로운 어휘를 생성, 영어의 명사화 접미사 '-ion' 

 

굴절 접사는 파생 접사보다 생산적(productive)이다. 즉, 어기와 결합시 제약이 적으며 더 많은 어기에 결합이 가능하다. 

 

이형태와 형태소

 

상보적 관계: 같은 환경/문맥에 등장할 수 없는 같은 의미를 지닌 두 개 이상의 형태(morphs). 영어의 a/an

 

상보적 관계의 문맥 유형에 따른 분류

 

한국어의 '을/를': phonetically conditioned, 음소적 차이에 기인한 상보적 분포

영어의 '-or'명사의 형용사형: lexically conditioned,어휘에 따라 결합하는 형태가 상보적 분포를 보인다. doctor + al, editor/censor + ial 에서 doctor와 editor/censor 사이의 음소적 차이가 아닌 어휘 자체에 따라 다른 형태소가 결합한 것이다. 

독일어의 ein grosser Fisch(a big fish), ein grosses Tier(a big animal): grammatically conditioned, 문법적 성에 따른 형태 차이

 

이형태(allomorph): 같은 형태소의 상보적 분포를 갖는 서로 다른 실현 형태, '을', '를'은 같은 형태소의 '이형태'이다

형태소(morpheme): 다양한 형태(morph)들을 아우르는 추상적인 집합

 

portmanteau morph: 하나 이상의 형태소를 실현하는 형태, 영어의 was는 과거(past), 단수(singular)라는 의미의 형태소를 실현한 portmanteau morph

available: 규칙의 적용이 가능한가(yes/no의 문제)

profitable: 규칙의 생산성이 높은가? 적용 범위(대상)가 넓은가?(모호하겠지만, 정도성의 문제)

 

analysable: 분석 가능한, 언어학자들이 분리해낼 수 있는 affix가 있다는 뜻

generalised: generalisation 의 정도를 과거 affix들의 productivity로 계산 가능

potential words: 실제 규칙으로 생성이 가능하지만, 사용되진 않는 단어들(redth, yellowth 등.. greenth는 있음)

 

individual productivity(vs Society productivity): 개인에 의한 productivity, 사회 전체가 해당 접사를 생산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 개인이 생산적으로 쓰는 경우.

 

blocking: 다른 어휘의 존재로 파생형의 존재가 불가한 경우 

cycler vs cyclist, cyclist가 존재하여 cycler가 안쓰이던 시기가 있었다. '-er'의 높은 생산성에도 불구하고..

 

institutionalisation(공인화): 단어가 사회에서 널리 쓰이고 사전에 등재됨.

 

synthetic compounds: 파생과 어근 합성이 둘다 나타난 합성어: taxi+drive+er = taxi-driver

 

Hepaxes, Hepax legomena: 코퍼스에서 한 번만 등장하는 어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