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

· 언어학
화용론이란 무엇인가?화용론(話用論, pragmatics)은 언어의 의미를 “맥락” 속에서 연구하는 학문 분야예요. 쉽게 말해, 똑같은 말이라도 어떤 상황에서, 누구에게, 어떻게 말하느냐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경우를 다루는 linguistics의 한 영역이죠. 우리가 일상 대화에서 자주 경험하듯이, 말의 문자 그대로의 뜻(표면적 의미)과 의도가 담긴 실제 뜻(함축적 의미)은 다를 수 있습니다. 화용론은 바로 그 “의도가 담긴 뜻”을 이해하려면 발화가 이루어지는 맥락(context)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예를 들어, 누군가 친구에게 “잘 먹고 잘 살아라.”라고 말했다고 가정해볼게요. 겉보기에는 상대방의 안녕을 비는 말처럼 들리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정반대의 의미로 쓰일 수 있어요. 이 말이 이별 상황..
· 언어학
들어가며: 노암 촘스키(Noam Chomsky)는 현대 언어학의 혁명가로 불립니다. 1950년대 후반 그는 언어를 바라보는 완전히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여, 인간의 언어 능력에 대한 이해를 근본부터 바꾸어 놓았습니다. 그가 주장한 생성문법(generative grammar) 이론은 언어학을 단순한 문장 모음의 관찰이 아닌, 인간의 마음에 내재된 언어 능력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탈바꿈시켰습니다. 이 글에서는 촘스키의 주요 언어학 연구를 시대별로 살펴보고, 그의 이론적 개념들이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해왔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보편문법(universal grammar)과 최소주의 프로그램(Minimalist Program)의 핵심 내용, 그리고 이러한 언어 이론이 다른 학문 분야(뇌과학, 심리학, 인공지능 등)..
· 언어학
Orthographic word: 철자법 상의 단어, 보통 띄어쓰기를 하는 글자 체계를 갖는 언어권에서는 띄어쓰기가 Orthographic word를 구분하는 단위가 된다. 한국어에선 이렇게 구분된 단어들을 '어절'이라 한다. Lexeme: 어휘소, 사전에 등재되는 단어들로 좀 더 정확히는 화자의 머릿속 가상의 사전에 있는 단어들. 사전에 등재된 단어들은 그 의미에 따라 구분된다.  Word-form: Lexeme이 실제 발화, 문장 내에서 나타나는 형태. '빠르다'라는 Lexeme은 실제 사용 시 '빠른', '빠르다', 빠르고' 등으로 나타난다.  Grammatical word: 문법적 기능에 따라 구분되는 단어 같은 Lexeme에서 파생된 단어이며, 같은 word-form으로 보여도 문법적 기능에 따..
· 언어학
직시(deixis)란 무엇인가.'deixis'는 그리스어로 'reference'라는 의미라고 한다. 이 의미가 화용론에서 적용되기 위해선 '문맥'과 연관지어 보면 되겠다. 어떤 대상을 가리키긴 하는데, 문맥 속에서 가리키게 된다. 우리는 이 직시를 통해 시공간적 제약을 넘어 다른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으며, 이는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가능케 한다.  예를 들어 친구들과 게임을 하는 중에,  6시 방향에 적 발견, 나 스킬 쿨타임 남아서 30초 뒤에 잡으러 가자.라고 한다면, '6시 방향(장소)', '나(사람)', '30초 뒤(시간)'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문맥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갖는다. '장소'는 보는 관점이나 화자나 청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인칭 대명사 역시 화..
· 언어학
직접화행, 간접화행  일반적으로 요청 및 요구 화행은 '명령문'과 함께 수행된다. 그러나 위 예시처럼 '의문문'의 형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는데, 이를 간접화행(indirect speech act)라고 한다. 서얼은 이러한 간접화행이 어떻게 해석되고, 어떻게 생성할 수 있는 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럼, 간접화행이란 건 알겠는데, 그럼 '직접화행'이란 개념도 있지 않을까? '직접화행'은 문장의 형식(sentence type)과 그 형식에 따른 무표적인 의도가 일치되는 화행 또는 직접화행을 나타내는 명시적인 수행동사[각주:1]가 쓰인 화행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평서문은 '진술하기', 의문문은 '질문하기', 명령문은 '명령, 요청하기'의 화행을 예상할 수 있다. 화자의 발화가 갖는 문장 형식과 이..
· 언어학
화행이란? 말 그대로 해석하면, 말이 뭔가 행동을 한다는 뜻인데, 잘 와닿지 않는다. 말이 무언갈 행한다 하면 어떻게 행할까? 결혼식장에서 하는 맹세나 사장이 직원에게 하는 해고 선언(명령?). 실제 효력은 문서와 절차에 따른다 해도, 우리는 말이 어떤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화행(Speech Act)'이라고 명명한 것이 아닌가 싶다.   배경 의미론에서 주로 다루는 분야는 문장의 참과 거짓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진술문'에서 잘 드러난다. 이 진술문에 대한 연구는 언어학 분야에서 꾸준히 이뤄져 왔지만, 다른 유형인 '수행문'은 잘 이뤄지지 않았다. 화행이론은 이 '수행문'과 '진술문'의 구분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수행문 vs 진술문   진술문은 문장의 참, 거짓을 따질..
· 언어학
투사 문제(Projection Problem) 투사 문제는 합성성의 원리와 연관지어 생각해봐야 한다. 합성성의 원리란, 간단히 말해서, 복잡한 표현들의 의미는 단순한 표현들의 의미의 합으로 결정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문장의 의미는 그 문장을 이루는 구, 단어의 의미의 총합으로 이뤄진다는 원리이다.  이 합성성의 원리를 '전제'에 적용해 보면, 문장의 전제는 해당 문장을 이루는 단어나, 구의 전제들의 합으로 볼 수 있고, 복문의 전제는 해당 복문을 이루는 단문 전제들의 합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합성성의 원리가 실제로 적용되지 않는 경우들이 존재한다. 어떤 경우에는 구나 단어의 전제가 상위 층위인 문장의 전제로 '투사'되지만, 어떤 경우에는 '투사'되지 않는다. 이런 문제들을 '투..
· 언어학
"손흥민 선수 골 넣었어?"  이 문장은 어떤 내용을 전제할까?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전제'에 기반하여 설명하자면, 위 문장은 '손흥민 선수가 가장 최근에 치뤄진 경기에 출전했다.'는 내용을 전제한다. 이를 바탕으로 전제에 대해 좀 뭉뚱그려서 얘기해 보면, 청자와 화자 사이에 당연하다고 간주되는 무엇이라고 볼 수 있다.  화용론에서 다루는 '전제'도 크게 다르진 않지만, 학술적 용어이기에 정교한 정의가 들어간다. 정의에 대해 얘기하기에 앞서 '전제'라는 개념이 어떻게 논의되어 왔는지 먼저 살펴보자.  전제(Presupposition)에 관한 여러 논의들 큰 틀은 전제는 의미인가, 또 다른 차원의 것인가에 대한 논의이다. 의미라 한다면 논리적인 참, 거짓을 다룰 수 있을 것이고, 의미론 차원이 아니..
· 언어학
1. 적합성 이론이란 적합성 이론은 고전 그라이스 화용 이론에 대응 또는 발전된 이론으로 인간의 인지 체계가 적합성(relevance)을 최대화하면서 의사소통한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전개된 이론이다. 적합성 이론은 인지적 원리와 의사소통적 원리라는 2개의 측면에서 기술될 수 있다.    1) 적합성의 인지적 원리 적합성(relevance)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요소에 의해 작동한다. 인지적(문맥적) 효과: 새로 들어온 자극과 기존 인지 체계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결과물 처리 노력: 입력 값에 대한 만족스러운 처리에 드는 비용 이 두 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적합성의 정도를 예측해볼 수 있다.    개인에 들어오는 입력값에 대한 적합성 측정 다른 요소가 똑같을 때, 인지적 효과가 클수록 그 개인에게 들어오는..
· 언어학
신 그라이스 이론 1. 배경 고전 그라이스 이론(이전 대화 함축 글에서 설명한)의 협력 원리나 격률들에 대해 좀 더 간소화 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뤄졌다. 혼(Horn)이나 레빈슨(Levinson)이 대표적이며, 이번엔 그들이 어떻게 그라이스 이론을 발전시켰는 지 살펴보고자 한다.    2. 혼 시스템 1) Q-원리, Quantity principle -대화에 충분히 기여하여라. -R-원리가 적용되었다 가정하고 말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말하여라. →→\rightarrow Q-원리는 양의 격률-1, 태도의 격률-1,2를 포함한다.[각주:1]   2) R-원리, Relation principle -당신이 대화에 하는 기여가 중요하도록 만들어라. -Q-원리가 적용되었다 가정하고 필요 이상으로 말하지 마라.  ..
· 언어학
대화 함축(Conversation Implicature)에 대한 간단한 예를 들어보겠다.    ex1) 철수: 영희야 내일 영화 볼래? 영희: 아 맞다. 나 내일 모레 시험 있다. 미안..    우선 문장 자체의 의미부터 살펴보자.  철수는 영희에게 영화를 볼 지 물어본다. 의문문 중에서도 yes or no question이다.  영희는 내일 모레 시험이 있다는 사실을 말하고, 미안함을 표현한다.  이렇게만 보면 그다지 좋은 대화는 아니다. 왜냐하면, 철수는 응/아니로 표현될 수 있는 질문을 했고, 영희는 이에 대해 직접적으로 대답하지 않았다.    그러나 각 문장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함축"한다고 볼 수 있다. '+>'는 함축 기호이다.    철수: 영희야 내일 영화 볼래? +> 내일 데이트 할래? ..
· 언어학
Pragmatics is a subfield of linguistics and semiotics that studies the ways in which context contributes to meaning. "화용론은 언어학과 기호학의 한 분야로, 문맥이 어떤 방식으로 의미에 기여하는 지에 대해 다루는 학문이다."   아래 의미론에서 다루었던 기호 삼각형이 있다. 아래 그림에서도 살펴볼 수 있듯이 화용론은 언어적 기호와 대화 참여자(발화자, 청자) 사이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위 정의에서 '문맥(context)'이라는 말이 나왔는데, 이 개념이 화용론을 가장 잘 설명하는 개념이라 생각한다. '발화자, 청자, 문맥'이라는 개념들이 왜 화용론을 설명하는 데 쓰였는지 앞으로 화용론을 공부하면서 알..
· 언어학
형식 의미론이라는 것은 논리값(참, 거짓)으로 문장의 의미를 나타내고자 하는 이론이다.    명제 논리(propositional logic) 표현의 한계 => 술어 논리의 필요성 의미론을 하기 위해서는 모두(전 세계 사람들이)가 이해 가능한 언어(metalanguage)로의 번역이 필요하다. 이를 가능케 해 주는 것이 바로 술어 논리이다. 명제 논리는 문장 자체의 의미가 정해졌을 때, 문장의 결합으로 생성되는 또 다른 문장의 의미를 추론할 수는 있지만, 문장 내 구성 요소들의 의미들까지는 설명하지 못한다. 이를 가능케 하고자 한 것이 바로 술어 논리(predicate logic)이다.    술어 논리 역시 명제 논리에서 쓰던 논리 기호들이 쓰인다. 다음과 같다. 술어 논리 역시 하나의 언어(metalan..
· 언어학
Componential Analysis(성분 분석 이론): 단어의 뜻풀이에 대해 의미 자질들을 바탕으로 의미를 설명하고자 한다. 단어의 의미는 semantic component(semantic primitives, 원시소, 기본소)로 구성되어 있다고 본다.    1) 의미 구성 요소(semantic components)는 어휘의 관계의 특성을 잡아내는 데 효율적이다.  2) 의미 구성 요소를 알아내야지만 통사적, 형태론적 처리 과정에 대한 범위를 정확하게 묘사할 수 있다.  3) 의미 구성 요소가 우리 마음 속에 내재하는 심리적 구조를 이루고 있다.   예시) woman: [FEMALE] [ADULT] [HUMAN]        man: [MALE] [ADULT] [HUMAN] -> woman과 man은..
· 언어학
'참여자(participant)'에 대해 알아볼 것인데, 이는 그림을 형성하는 데 참여하는 대상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리고 이 참여자들은 각자가 역할을 갖고 있다고 보는데, 그게 바로 "의미역(thematic role)"이다.    의미역의 종류  Andrew(1985), Radford(1988), et al 의 의미역 분류 AGENT: 행위를 시작하는 사람.(initiator of action) 동시에 행위에 대한 의지를 갖고 있어야 한다.    PATIENT: 어떤 행위의 영향을 받는 개체, 상태의 변화가 있다.    THEME: 행위에 의해 이동이 일어나는 개체. 또는 그 위치가 묘사되는 경우   EXPERIENCER: 서술어에 의해 행위나 상태를 인지하고 있음, 그러나 행위나 상태에 대한 통제 ..
· 언어학
이 챕터에서는 문장의 의미를 설명해주는 situation에 대해 서술어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situation 종류 situation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situation 종류를 구분하는 기준(동사들의 성격을 설명해주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 situation type -static situation: 특정 시간동안 상태가 변하지 않는 situation -dynamic situation: 동작과 그에 해당하는 부분 동작들이 있다. (즉, 상태 변화가 있다는 뜻) ex) 철수는 작년동안 키가 많이 자랐다. (철수의 키가 자라는 과정이 있다., 철수의 상태가 변화) 그녀는 작년동안 미국 전역을 여행했다. (그녀의 여행을 부분 부분 나눠볼 수 있다. 어디어디를 여행했다...)   te..
· 언어학
이번 챕터는 문장들 사이의 의미 관계와 문장의 의미를 참/거짓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문장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 할 때, 문장이 그리는 그림에 대해 이야기하곤 한다. 문장이 어떤 그림을 묘사하는 지를 문장의 의미를 설명하는 데 비유적으로 자주 이용한다.      synonymous(유사) 1) 그는 카카오에서 일을 한다.  2) 그는 카카오 직원이다.  1)과 2)는 유사한 문장이다.    entail(수반, 포함) 1) 무정부주의자가 황제를 암살했다.  2) 황제는 죽었다.  1)번 문장은 2)번 문장을 함의한다. 수반한다. 1)번이 참이면, 2)번도 당연히 참이 된다.      contradict(모순) 1) 내 친구가 방금 파리에서 돌아왔다.  2) 내 친구는 한 번도 파리에 가본 적이 없다.  ..
· 언어학
lexical semantics(어휘 의미론) 언어 내 각 단어들의 의미와 단어 의미들이 서로 어떻게 연관되는 지에 대해 연구.     의미간의 관계 syntagmatic relation(통합적 관계): 주변 단어들과의 관계 통합적 관계 예시   pradigmatic relation(계열적 관계): 대체 가능한 단어들과의 관계 계열적 관계 예시 이 통합적/계열적 관계가 있는 단어들 사이에는 어떤 의미적 관계가 존재한다. 통합적 관계는 문장에서의 기능, 계열적 관계에서는 의미 범주 또는 속성과 연관이 있는 듯하다. word2vec기법은 이러한 의미 관계들을 바탕으로 학습하고 응용하는 것 같다.    1) My bank manager has just been murdered. 2) My bank manage..
· 언어학
용어 정의 refer와 denote의 의미 refer는 화자가 현실 세계의 대상들을 끄집어 내는 행동 denote는 언어적 표현과 현실 세계 사이의 관계를 의미한다.      의미에 대해서는 두 가지 접근법이 있다.  1. Referential approach 철학에 기반한 접근법이며, 단어와 문장이 어떻게 상황들을 refer하는 지를 보여줌으로써 단어와 문장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고 본다. 의미는 현실에 기반한 언어로부터 도출된다고 본다.    2. Representational approach 심리학에 기반한 접근법이며, 우리가 세상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는 능력은 우리의 세상에 대한 모델이 있기에 가능하다고 본다. 이 모델들은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과 상황에 대한 분류이다.  우리 내부의 개념 구..
· 언어학
먼저 기호학으로부터 개념들을 빌려와 의미와 기호 사용자 사이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은 기호 삼각형(semiotic triangle)이다. 이를 통해서 의미론과 화용론이 어떤 주제에 대해 다루는 지 살펴볼 수 있다.    기호 삼각형과 symbol-object 관계 각 꼭지점은 대상(object), 언어적 상징, 기호(linguistic symbol), 참여자(participants)를 의미한다.  두 사람이 대화하는 모습을 상상해 보자. 대상은 이 세계에 실재 존재하는 것들이다. 우리가 대화를 함에 있어서 실제 대상을 항상 직접 보여줄 수 있으니 기호, 상징을 이용해 설명한다. 대화 내에는 화자와 청자가 존재하며 이들이 곧 참여자이다.    대상과 기호 사이의 관계는 concept(개념)로 연결..
도갱도갱
'언어학' 카테고리의 글 목록